질병관리센터

KOICD 질병분류 정보센터 (www.koicd.k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는 의무기록자료,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입니다.  (통계청 참고자료)
우리나라에서 질병·사인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1929년)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 부터이며, 제 7차 개정에서는 WHO에서 권고한 국제질병분류(ICD-10) 업데이트 내용을 반영하고 우리나라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비하였으며, 한의분류를 재정비하고, 분류 가능한 희귀질환을 반영하였으며 의학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질병용어를 정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9월 24일 개정 고시(통계청 고시 제2015-309호)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습니다. 
I.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A00-B99)
​A00-A09 장감염질환
A15-A19 결핵
A20-A28 특정 동물매개의 세균성 질환
A30-A49 기타 세균성 질환
A50-A64 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감염
A65-A69 기타 스피로헤타질환
A70-A74 클라미디아에 의한 기타 질환
A75-A79 리케차병
A80-A89 중추신경계통의 바이러스감염
A92-A99 절지동물매개의 바이러스열 및 바이러스출혈열
B00-B09 피부 및 점막병변이 특징인 바이러스감염
B15-B19 바이러스간염
B20-B24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병
B25-B34 기타 바이러스질환
B35-B49 진균증
B50-B64 원충질환
B65-B83 연충증
B85-B89 이감염증, 진드기증 및 기타 감염
B90-B94 감염성 및 기생충질환의 후유증
B95-B98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감염체
B99 기타 감염성 질환

Ⅱ.신생물(C00-D48)
C00-C97 악성 신생물
D00-D09 제자리신생물
D10-D36 양성 신생물
D37-D48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50-D89 Ⅲ.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
D50-D53 영양성 빈혈
D55-D59 용혈성 빈혈
D60-D64 무형성 및 기타 빈혈
D65-D69 응고결함, 자반 및 기타 출혈성 병태
D70-D77 혈액 및 조혈기관의 기타 질환
D80-D89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

Ⅳ.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E00-E90)
E00-E07 갑상선의 장애
E10-E14 당뇨병
E15-E16 포도당조절 및 췌장내분비의 기타 장애
E20-E35 기타 내분비선의 장애
E40-E46 영양실조
E50-E64 기타 영양결핍
E65-E68 비만 및 기타 과영양
E70-E90 대사장애
F00-F99 Ⅴ. 정신 및 행동 장애
F00-F09 증상성을 포함하는 기질성 정신장애
F10-F19 정신활성물질의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
F20-F29 조현병, 분열형 및 망상 장애
F30-F39 기분[정동] 장애
F40-F48 신경증성, 스트레스-연관 및 신체형 장애
F50-F59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들과 수반된 행동증후군
F60-F69 성인 인격 및 행동의 장애
F70-F79 정신지체
F80-F89 정신발달장애
F90-F98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행동 및 정서 장애
F99 상세불명의 정신장애

VI. 신경계통의 질환 (G00-G99)
G00-G09 중추신경계통의 염증성 질환
G10-G14 일차적으로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계통성 위축
G20-G26 추체외로 및 운동 장애
G30-G32 신경계통의 기타 퇴행성 질환
G35-G37 중추신경계통의 탈수초질환
G40-G47 우발적 및 발작적 장애
G50-G59 신경,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G60-G64 다발신경병증 및 말초신경계통의 기타 장애
G70-G73 신경근접합부 및 근육의 질환
G80-G83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증후군
G90-G99 신경계통의 기타 장애
H00-H59 Ⅶ. 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
H00-H06 눈꺼풀, 눈물계통 및 안와의 장애
H10-H13 결막의 장애
H15-H22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장애
H25-H28 수정체의 장애
H30-H36 맥락막 및 망막의 장애
H40-H42 녹내장
H43-H45 유리체 및 안구의 장애
H46-H48 시신경 및 시각경로의 장애
H49-H52 안근, 양안운동, 조절 및 굴절의 장애
H53-H54 시각장애 및 실명
H55-H59 눈 및 눈부속기의 기타 장애
H60-H95 Ⅷ. 귀 및 유돌의 질환
H60-H62 외이의 질환
H65-H75 중이 및 유돌의 질환
H80-H83 내이의 질환
H90-H95 귀의 기타 장애

 Ⅸ. 순환계통의 질환(I00-I9)
I00-I02 급성 류마티스열
I05-I09 만성 류마티스심장질환
I10-I15 고혈압성 질환
I20-I25 허혈심장질환
I26-I28 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
I30-I52 기타 형태의 심장병
I60-I69 뇌혈관질환
I70-I79 동맥, 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질환
I80-I8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맥, 림프관 및 림프절의 질환
I95-I99 순환계통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장애​

Ⅹ. 호흡계통의 질환(J00-J99)
J00-J06 급성 상기도감염
J09-J18 인플루엔자 및 폐렴
J20-J22 기타 급성 하기도감염
J30-J39 상기도의 기타 질환
J40-J47 만성 하부호흡기질환
J60-J70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J80-J84 주로 간질에 영향을 주는 기타 호흡기질환
J85-J86 하기도의 화농성 및 괴사성 병태
J90-J94 흉막의 기타 질환
J95-J99 호흡계통의 기타 질환​

ⅩⅠ. 소화계통의 질환(K00-K93)
K00-K14 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
K20-K31 식도, 위 및 십이지장의 질환
K35-K38 충수의 질환
K40-K46 탈장
K50-K52 비감염성 장염 및 결장염
K55-K64 장의 기타 질환
K65-K67 복막의 질환
K70-K77 간의 질환
K80-K87 담낭, 담도 및 췌장의 장애
K90-K93 소화계통의 기타 질환
L00-L99 ⅩⅡ.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L00-L08 피부 및 피하조직의 감염
L10-L14 수포성 장애
L20-L30 피부염 및 습진
L40-L45 구진비늘장애
L50-L54 두드러기 및 홍반
L55-L59 피부 및 피하조직의 방사선-관련 장애
L60-L75 피부부속물의 장애
L80-L99 피부 및 피하조직의 기타 장애
ⅩⅢ.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M00-M25 관절병증
M30-M36 전신결합조직장애
M40-M54 등병증
M60-M79 연조직장애
M80-M94 골병증 및 연골병증
M95-M99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기타 장애
N00-N99 ⅩⅣ.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N00-N08 사구체질환
N10-N16 신세뇨관-간질질환
N17-N19 신부전
N20-N23 요로결석증
N25-N29 신장 및 요관의 기타 장애
N30-N39 비뇨계통의 기타 질환
N40-N51 남성생식기관의 질환
N60-N64 유방의 장애
N70-N77 여성골반내기관의 염증성 질환
N80-N98 여성생식관의 비염증성 장애
N99 비뇨생식계통의 기타 장애

ⅩⅤ. 임신, 출산 및 산후기(O00-O99)
O00-O08 유산된 임신
O10-O16 임신, 출산 및 산후기의 부종,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O20-O29 주로 임신에 관련된 기타 산모장애
O30-O48 태아와 양막강 그리고 가능한 분만문제에 관련된 산모관리
O60-O75 진통 및 분만의 합병증
O80-O84 분만
O85-O92 주로 산후기에 관련된 합병증
O94-O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산과적 병태

ⅩⅥ.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P00-P96)
P00-P04 산모요인과 임신, 진통 및 분만의 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P05-P08 임신기간 및 태아성장과 관련된 장애
P10-P15 출산외상
P20-P29 출생전후기에 특이한호흡기및심혈관장애
P35-P39 출생전후기에 특이한 감염
P50-P61 태아 및 신생아의 출혈성 및 혈액학적 장애
P70-P74 태아 및 신생아에 특이한 일과성 내분비 및 대사 장애
P75-P78 태아 및 신생아의 소화계통장애
P80-P83 태아 및 신생아의 외피 및 체온조절에 관련된 병태
P90-P96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기타 장애

ⅩⅦ.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Q00-Q99)
Q00-Q07 신경계통의 선천기형
Q10-Q18 눈, 귀, 얼굴 및 목의 선천기형
Q20-Q28 순환계통의 선천기형
Q30-Q34 호흡계통의 선천기형
Q35-Q37 구순열 및 구개열
Q38-Q45 소화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Q50-Q56 생식기관의 선천기형
Q60-Q64 비뇨계통의 선천기형
Q65-Q79 근골격계통의 선천기형 및 변형
Q80-Q89 기타 선천기형
Q90-Q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염색체이상

ⅩⅧ.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R00-R99)
R00-R09 순환계통 및 호흡계통의 증상 및 징후
R10-R19 소화계통 및 복부의 증상 및 징후
R20-R23 피부 및 피하조직의 증상 및 징후
R25-R29 신경계통 및 근골격계통의 증상 및 징후
R30-R39 비뇨계통의 증상 및 징후
R40-R46 인지, 지각, 정서상태 및 행위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R47-R49 말하기 및 음성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R50-R69 전신증상 및 징후
R70-R79 진단명 없는 혈액검사상 이상소견
R80-R82 진단명 없는 요검사상의 이상소견
R83-R89 진단명 없는 기타 체액, 물질 및 조직의 검사상 이상소견
R90-R94 진단명 없는 진단영상 및 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R95-R99 불명확하고 원인불명의 사인

ⅩⅨ.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S00-T98)
S00-S09 머리의 손상
S10-S19 목의 손상
S20-S29 흉부의 손상
S30-S39 복부, 아래등, 요추 및 골반의 손상
S40-S49 어깨 및 위팔의 손상
S50-S59 팔꿈치 및 아래팔의 손상
S60-S69 손목 및 손의 손상
S70-S79 고관절 및 대퇴의 손상
S80-S89 무릎 및 아래다리의 손상
S90-S99 발목 및 발의 손상
T00-T07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손상
T08-T14몸통, 사지또는신체부위의 상세불명 부분의 손상
T15-T19 자연개구를 통해 들어간 이물의 영향
T20-T32 화상 및 부식
T33-T35 동상
T36-T50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T51-T65 출처가 주로 비의약품인 물질의 독성효과
T66-T78 외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영향
T79 외상의 특정 조기합병증
T80-T88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합병증
T90-T98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기타 결과의 후유증

ⅩⅩ.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V01-Y98)
V01-X59 사고
X60-X84 고의적 자해
X85-Y09 가해
Y10-Y34 의도 미확인 사건
Y35-Y36 법적 개입 및 전쟁행위
Y40-Y84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의 합병증
Y85-Y89 질병이환과 사망의 외인의 후유증
Y90-Y98 달리 분류된 질병이환 및 사망원인에 관련된 보조요인

ⅩⅩⅠ.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Z00-Z99)
Z00-Z13 검사 및 조사를 위해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20-Z29 전염성 질환과 관련되어 잠재적인 건강위험이 있는 사람
Z30-Z39 생식에 관련된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0-Z54 특정 처치 및 건강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55-Z65 사회경제적 및 정신사회적 상황에 관련된 잠재적 보건위험이 있는 사람
Z70-Z76 기타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80-Z99 가족 및 개인 기왕력과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특정 병태에 관련된 잠재적 건강위험을 가진 사람

ⅩⅩⅡ. 특수목적 코드(U00-U99)
U00-U18 병인이 불확실한 신종질환의 임시적 지정이나 응급사용(U00-U18)
U82-U85 항균제 및 항암제 내성
U99 재발한 악성 신생물
U22-U32 한의병명(韓醫病名)
U50-U79 한의병증(韓醫病證)
U95-U98 사상체질병증(四象體質病證)
10대 사망율
1암.2심장질환.3폐렴.4뇌혈관질환.5자살.6당뇨.7알츠하이머.8간질환.9고혈압성질환.10폐혈증 
고객지원
당뇨 약리효과
K. Mc1, F5, Rc, Re, Rg2, Rg3
체험 사례
제품 특성
질병관리센터
커피는 어디에서 왔을까?

커피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아시아와 같은 지역을 포함하여 "커피 벨트"를 중심으로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재배됩니다. 이 지역은 고도, 토양 및 날씨가 적절하게 조합되어 가장 맛있는 콩을 재배하기에 완벽한 기후를 제공합니다. 커피 콩이 실제로 커피 나무의 열매("체리"라고 함)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놀랄 수 있습니다. 체리는 먹을 수 있지만 커피와 같은 맛은 전혀 없습니다. 사실, 체리는 부드럽고 약간 달콤한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부의 풍부하고 풍미있는 커피 콩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120종 이상의 커피 식물이 있으며 각 품종은 고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마시는 대부분의 커피는 아라비카 또는 로부스타 커피 원두 또는 이 두 가지를 혼합한 것입니다. 로스팅은 커피콩을 가열하여 우리가 알고 사랑하는 풍부하고 향긋한 풍미를 이끌어내는 과정입니다.
아바 픽쳐스 코퍼레이션

아바 픽쳐스는 런던에서 가장 오래 운영되고 유일하게 남아있는 메이저 스튜디오로서 영화의 출현에서 텔레비전의 출현,
디지털 혁명에 이르기까지 영화의 모든 주요 발전의 1층에 있습니다. 100년의 역사 동안 우리는 수천 편의 유명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의 제작 현장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유명한 영화, TV 프로그램 및 광고를 만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크고 작은 프로젝트와 계속 협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스튜디오 부지는 26에이커와 4단계에서 65에이커와 30단계로 확장하면서 수년에 걸쳐 상당히 성장했습니다.
우리는 또한 독특한 Paris Street 백로트와 같은 다른 인상적인 사이트를 건설했습니다.